본문 바로가기
장애인복지

우리가 장애를 바라보는 방법

by 호호리엔 2022. 11. 22.
728x90
반응형

2022629~ 818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라는 드라마가 방영되었습니다. 그전에도 장애를 가진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드라마와 영화가 많이 있었지만, 이상한 변호사 안에서는 장애를 가진 주인공이 사회활동을 하면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이 주된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얼마나 장애에 대해 많이 알고 있지 못하고 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장애를 바라보는 방법

 

우리는 길을 지나가거나 방송에서 장애인을 접할 때가 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장애를 어ᄄᅠᇂ게 보고 생각했을까요?

장애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의 손실로 인하여 오랜 기간 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주는 경우를 뜻합니다.

부끄러움 때문에 남 앞에 서면 얼굴이 빨개지고, 긴장을 하면 땀이 나고 알고 있는 것도 까먹으며, 외국인 울렁증으로 12년간 배운 영어 한마디도 못하는 것은 누구나 갖고 있고, 가질 수 있는 특성입니다. 장애도 한 개인 갖고 있는 수많은 특성 중의 하나라고 보고 있습니다.

장애란 무엇일까요?

장애란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중세 유럽에서는 장애인은 신에게 벌을 받는 사람이라 하여, 장애인에게 고문과 사형을 집행하였습니다. 이는 서양에서 발생한 장애인의 잔혹한 역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의 조선시대 속 장애인은 단지 몸이 불편한 사람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라고 여겼다고 합니다. 즉 장애를 병으로 장애인을 고쳐야 할 대상으로 보았던 것입니다.

 

세계 보건 기구에서 정리한 장애인은 선천적 후천적으로 신체 및 정신 능력에 결함이 발생하여 스스로 생활을 영위할 필요조건을 전혀 갖출 수 없거나 부분적으로 갖출 수 없는 모든 사람이라 규정하였습니다. 또한 장애인 복지법에서 정의한 장애인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오랫동안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의미하며, 장애인 고용 촉진 및 직업재활법에서 정의한 장애인은 신체 또는 정신이 장애로 장기간에 걸쳐 직업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장애인은 나와 다르며, 장애는 일반적이지 않고, 비정상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유튜브에 장애를 가진 유튜버들이 나와 많이 인식개선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에 대한 사람들의 사회적 인식은 장애인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사회의 태도가 긍정적인 경우에는 심한 장애도 생활에 큰 걸림돌이 되지 않지만, 미성숙한 사회 여건에서는 경미한 장애도 큰 어려움으로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한 호칭은 다양하지만 법적인 용어인 장애인이라고 부르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장애가 없는 사람을 정상인이라고 부르는 대신 비장애인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구는 26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5.39%입니다. 즉 인구 100명 중 5명이 장애인입니다. 전체 장애인구 중 남성장애인이 58%, 여성장애인이 42%으로 남성 장애인의 수가 더 많습니다. 전체 장애인 중 65세 이상 인구의 46.6%로 장애인으로 이는 우리 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장애노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장애인구 중 청년층(0~39) 비율이 가장 높은 장애유형은 발달장애입니다. 반면 신체적 장애는 중장년층의 비율이 가장 큰데, 이는 대부분의 발달장애가 선적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신체적 장애는 질병이나 사고와 같은 후천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대게 장애는 나와는 거리가 먼일이라고 생각하지만 결코 남의 일이 아닙니다.

 

지금까지 장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장애 유형이 어떻게 나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