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장애인복지29

장애등록 판정 기준 및 등록절차 정리 2022.11.22 - [장애인복지] - 우리가 장애를 바라보는 방법 우리가 장애를 바라보는 방법 2022년 6월 29일 ~ 8월 18일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라는 드라마가 방영되었습니다. 그전에도 장애를 가진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드라마와 영화가 많이 있었지만, 이상한 변호사 안에서는 장 hoho-lian.tistory.com 우리나라의 장애인구는 26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5.39%, 인구 100명 중 5명이 장애인입니다. 또한 후천적 장애가 발생하는 비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애 등록방법에 대해 잘 알지 못해 장애를 등록하지 못하여 정부가 장애인에게 지원하는 여러 제도들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장애진단이 받았다고 해서 받을.. 2022. 12. 24.
직업재활서비스과정 Ⅶ.취업 후 적응 지원 및 종결 우리 모두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은 취업 장애인들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원활하게 해결하기 위해 장애인, 가족, 사업주에게 정당한 편의 제공, 직무수행, 직장환경, 동료관계와 같은 사회·심리적 관계 등의 측면에서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여, 장기간 고용 관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로써 장애인이 독립된 사회의 일원으로 사회 통합을 이루며 생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취업 후 적응지원 취업 후 적응 지원은 장애인, 사업주, 가족, 감독자, 동료 등을 대상으로 취업장애인의 고용안정 및 유지를 위해 지원하는 제반 활동이라고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지워사업 운영규정 제2조(정의) 제6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취업 후 장애인에게 발생한 직장내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장.. 2022. 12. 21.
직업재활서비스과정Ⅵ.취업알선 및 취업 취업알선은 장애인 직업재활 과정에서 구직 장애인의 흥미, 직업적 욕구, 능력과 사업체의 직무 등을 고려하여, 직장을 알선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일반고용, 보호고용, 재택고용, 기타 고용, 창업 등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활동입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직업지도, 직업능력 평가, 직업적응훈련, 직업훈련, 취업알선, 고용 및 취업 후 지도 등 필요한 정책을 강구하여한다. "라고 장애인복지법 제21조(직업) 제1항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즉 장애인의 욕구와 직업능력에 적합한 직업을 알선하고 배치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여야 직업재활의 최종 목표인 취업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취업알선 및 취업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상은 취업을 희망하는 만 .. 2022. 12. 19.
직업재활서비스과정 Ⅴ. 사업체 개발 직업재활서비스 과정 중 사업체 개발이란 사업장 방문, 구인정보지 및 구인관련 인터넷 홈페이지 활용 등의 방법으로 취업알선 대상 사업체를 개발하여야 하는 과정으로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운영규정 제19조(사업체 개발)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장애인이 그 능력에 맞는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종 개발을 하고, 그 직업에 지원할 수 있도록 직무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체계화하는 과정을 사업체 개발이라고 합니다. 2022.12.06 - [사회복지] - 직업재활서비스 과정 직업재활서비스 과정 장애인이 취업과 직업훈련을 받기 위해 복지관, 직업재활시설 등을 찾아가면 각 기관은 직업재활서비스 과정에 따라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참여를 지원해 줍니다. 이는 사회복지실천 과 hoho.. 2022. 12.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