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55

2023년 올해 쉬는 날 117일! 안녕하세요. 호호리엔입니다. 계묘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에는 이루고자 하시는 모든 일들 다 이루시면서 행복하고 즐거운 일만 가득한 한 해가 되길 바라겠습니다. 저는 2022년 마지막을 돌아보니, 먼가 바쁘게 살았지만 이루지 못한 것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2023년이 지난 다음에는 아쉬움이 조금은 없었으면 합니다. 그래서 저는 올해 '그냥 하기!!'를 목표로 세웠습니다. 거창한 목표를 잡는다기 보다는 작심삼일을 계속 반복해서 하는 것으로 꾸준히 하는 것으로 잡았습니다. 티스토리에 1일 1 포스팅하는 것도 그냥 하기 중 하나입니다. 2023년 마지막에 목표가 잘 이루어져 있길 바라봅니다. 저는 아무래도 다음 연도 달력을 맨 처음 받으면 하는 일은 휴일이 며칠인지 찾게 되는데요. 2023년 휴일은 총며칠인.. 2023. 1. 3.
장애인표준사업장,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중증장애인생산품우선구매제도) 장애인표준 사업장 인증제도와 중증장애인 우선구매제도 모두 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소득보장을 지원하는 제도로 은 장애인의 원활한 근로를 위해 도움을 주는 제도입니다. 이 두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애인표준사업장 장애인표준사업장이란 경쟁노동시장에서 직업 활동이 곤란한 중증장애인의 안정된 일자리 창출과 사회통합 기반을 조성하고 장애인 중심의 작업환경 기준을 제시하여 중증장애인 친화적(물리적, 정서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거하여 경쟁적 노동시장에서 직업활동이 곤란한 중증장애인에게 안정된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업에게는 장애인 고용의무를 자연스럽게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한 제도입니다. 장애인표준사업장 인증제도는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거하.. 2023. 1. 2.
2023년 변화하는 복지 관련 정책 알아보기 2023년에 변화하는 여러 종류의 복지 관련된 정책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저임금 국가가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여, 사용자가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강제하여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시급 9,620원(2022년 9,160원 대비 5.0% 인상) 일급 76,960원(일 8시간 기준) 월급 2,010,580원(주 40시간, 유급주휴 8시간 포함) * 현재 주휴수당 폐지가 논의되고 있으나, 만약 주휴수당이 폐지된다면 2023년 월급 기준 2,010,580원에서 1,673,880원(336,700원 감액)으로 급여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2023년 1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인 2,077,892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으로, 월급으로 생활하는 급여생활자들에게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가중될 수.. 2022. 12. 30.
직업재활시설의 종류 알아보기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이란 장애인이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직업생활을 통하여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장애인직업재활과 관련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장애인 복지시설입니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종류에는 장애인 보호작업장, 장애인 근로작업장,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시설이 있습니다. 그럼 각 장애인직업재활 시설별 특징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장애인보호작업장 장애인보호작업장은 작업 능력이 다소 부족한 장애인에게 직업적응능력향상, 직무기능향상, 그리고 보호적 조건에서 일할 기회를 제공하고 소정의 유상적인 임금을 지급하는 곳이며, 윗 단계인 근로사업장이나 일반 업체의 경쟁고용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설입니다. (출처 : 보건복지부 2021) 장애인보호작업장의 시설 이용 근로장애인이 최.. 2022. 12.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