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55 장애인 고용 장려금 및 신규 고용 장려금 쉽게 정리 코로나19의 장기화와 경기 침체로 인해 고용 시장은 점점 더 어려워지는 상황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힘들 듯이 장애인 고용시장도 상황이 좋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고용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사업주 지원 제도인 장애인 고용장려금 및 2022년부터 3년간 시행될 장애인 신규 고용 장려금’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애인 고용 장려금 제도란?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고용 촉진을 유도하고자 의무 고용률(민간 3.1%, 공공 3.6%)을 초과하여 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게 일정액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장애인 고용 장려금 지원 대상은? 월별 상시근로자의 장애인 의무 고용률(민간 3.1%, 공공 3.6%)을 초과하여 장애인을 고용한 사업주에게 지급하며,.. 2022. 11. 29. 2023년부터 달라지는 정책 알아보기 팁! 곧 다가올 2023년! 달라지는 정책들이 있습니다. 미리 확인해 보겠습니다. 유통기한 표시변경 2023년 1월 1일부터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으로 표시가 변경됩니다. 유통기한은 제품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이고, 변경되는 소비기한은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시 섭취하여도 이상이 없는 기한입니다. 소비가 가능한 식품이 폐기되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 감소 효과 및 국제 기준에 맞는 식품 제도로의 도약을 위해 실시될 예정입니다. 지하철 버스 정기권 지하철, 버스 간 환승할인이 가능한 통합 정기권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존 지하철 역세권 주민 이외에 지하철과 버스를 환승하는 이용객에게도 할인 혜택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30일간 60회까지 최대 38% 할인된 금액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2022. 11. 28. 장애인 의무 고용률 한번에 정리 앞서 알아본 것처럼 우리나라 장애인 인구는 26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6가구 당 한 가구에 장애인이 거주하고 있어 생각보다 가까운 곳에서 남이 아닌 우리로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의 경제 활동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2017년 장애인 실업률은 5.7%로 전체 인구 실업률 3.6%에 비해 높은 편이며 장애인 고용률 또한 36.5%로 전체의 인구 고용률 61.3%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입니다. 이러한 낮은 고용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에 어떠한 제도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장애인 고용의무 제도란? 우리나라는 고용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일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고용의무 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사업주에게 일정 .. 2022. 11. 26. 장애에 대한 인식 변화 혹시 건물의 화장실이나 주차장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장애인 마크, 그 마크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기억하고 계시나요? 장애인 마크의 재탄생, 편견을 부수다. 위 왼쪽에 보이는 그림이 바로 전 세계 공통으로 쓰이는 국제표준 iso 장애인 마크입니다. 1968년에 만들어진 디자인으로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이 마크에 그려진 장애인의 모습에 대해서 ‘너무 딱딱해 보인다’, ‘뻣뻣해서 도움만을 바라는 모습 같다’며 이 마크가 오히려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만드는 것이 아닐까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다고 합니다. 그런 의견을 갖고 있던 사람 중 한 명이었던 뉴욕의 디자이너 사라 핸드렌은 자신의 능력을 살려 표준 마크 보다 능동적이고 새로운 모습의 장애인 마크를 고안하게 됩니다. 앞으로 내민 몸과 휠체.. 2022. 11. 25.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 728x90 반응형